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공급망 가시성이 중요한 이유: 해답은 현장에 있다

카테고리 없음

by DX_sol 2025. 3. 31. 11:31

본문

반응형

– 회사의 공급망 흐름도(Flow Chart) 시각화

“우리 회사의 공급망을 그림으로 그릴 수 있나요?”

이 질문에 명확히 답할 수 있다면, 이미 공급망 관리(SCM)의 절반은 성공한 셈입니다.
공급망 흐름도(Flow Chart)는 단순한 문서가 아닙니다.
회사의 물류, 정보, 자재, 인력, 돈의 흐름을 한눈에 보여주는 전략적 도구입니다.

이 글에서는 왜 공급망 흐름도를 시각화해야 하는지, 어떻게 시작해야 하는지, 시각화된 흐름도가 실제 경영에 어떤 도움을 주는지 단계별로 알려드립니다.


1. 왜 공급망 흐름도를 시각화해야 할까?

공급망은 생각보다 복잡합니다.
‘수주 → 자재구매 → 생산 → 출하’처럼 단순해 보이지만, 그 안에는 수많은 변수와 참여자가 얽혀 있습니다.

공급망 흐름도를 시각화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가시성 확보

  • 전체 업무 흐름이 시각적으로 정리되어 병목구간, 중복업무, 대기 시간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 부서 간 협업 구조 명확화

  • 생산, 구매, 영업, 물류가 각자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명확히 인식하게 됩니다.

✅ 시스템 설계 및 개선의 기준

  • ERP, SCM 시스템 도입 시 프로세스 정렬 기준이 되어 오류나 낭비를 줄일 수 있습니다.

✅ 위기 대응력 향상

  • 특정 공정이 중단되었을 때 대체 경로리스크 구간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2. 공급망 흐름도, 이렇게 그리면 된다

처음부터 완벽하게 그리려 하지 마세요.
큰 흐름 → 부서별 상세 → 정보 흐름 추가 → 데이터 연결
이런 순서로 점진적으로 완성해 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 Step 1. 주요 흐름 정의

주문 → 계획 → 자재 구매 → 생산 → 품질검사 → 포장 → 출하 → 회계처리

🧩 Step 2. 각 단계에 참여하는 부서/역할 표시

예:

  • 주문: 영업부
  • 자재구매: 구매팀
  • 생산계획: 생산관리팀
  • 입고검수: 자재관리팀

🧩 Step 3. 정보 흐름 추가

  • 수주정보 → 구매요청 → 생산계획
  • 재고정보 → 구매 발주 판단
  • 납기정보 → 출하 스케줄 조정

🧩 Step 4. 시각화 툴 활용

  • PowerPoint, Excel, Lucidchart, Draw.io 등 도식화 툴 활용
  • 색상과 아이콘을 활용하여 각 흐름을 구분 (예: 자재 흐름은 파란색, 정보 흐름은 노란색)

3. 실제 예시: 중소 제조기업의 공급망 흐름도

 
고객주문 → 수주등록 (영업팀) → 생산계획 수립 (생산팀) → 필요자재 확인 → 구매발주 (구매팀) → 자재입고 및 검수 (물류팀) → 생산 진행 → 품질검사 (현장팀) → 완제품 출하 (물류팀) → 매출처리 및 정산 (회계팀)
 

👉 이 흐름도를 기준으로 ERP, MES, WMS를 연동하거나, 병목지점을 찾고 자동화 포인트를 도출할 수 있습니다.


4. 흐름도 시각화로 얻는 실질적인 개선 포인트

시각화 전시각화 후
시각화 전 시각화 후
불필요한 회의 반복 흐름도 기준으로 문제점 바로 파악
각 부서의 역할 불분명 책임구간 명확화로 업무 효율 상승
업무 중복 및 누락 빈번 프로세스 흐름 기준으로 체크리스트 관리 가능
정보 공유 부족 흐름도 기반 전사적 커뮤니케이션 개선

특히 신입사원 교육, 협력업체와의 협업 설명, 고객사 대응 시에도 흐름도는 강력한 도구가 됩니다.


5. 흐름도를 넘어, 시스템과 KPI로 연결하라

공급망 흐름도를 잘 구축했다면 이제 이것을 **성과지표(KPI)**와 연동하세요.

예:

  • 생산계획 수립 → KPI: 리드타임, 계획 정확도
  • 자재 발주 → KPI: 자재 정시 도착률
  • 품질검사 → KPI: 불량률, 재작업률
  • 출하 단계 → KPI: 납기 준수율

또한 ERP, SCM 시스템을 도입할 경우, 흐름도를 기반으로 업무 프로세스 자동화RPA 적용 구간도 구체화할 수 있습니다.


6. 결론: 흐름도가 없으면, 흐름도 없다

공급망은 흐름입니다.
그 흐름을 제대로 보지 못한다면, 어디가 막혀 있고 어디서 낭비가 발생하는지도 알 수 없습니다.

**“흐름을 보면, 답이 보인다”**는 말이 있습니다.
복잡한 SCM 이론보다 먼저 해야 할 일은, 우리 회사의 흐름을 그려보는 것입니다.

지금, 당신의 회사는 공급망 흐름을 한 장의 그림으로 설명할 수 있나요?

 

자사의 공급망 그리기
자사의 공급망 그리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