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로벌 공급망에서 물류는 선택이 아닌 필수 전략이다
공급망 관리(Supply Chain Management, SCM)에서 물류(Logistics)는 단순한 운송 기능을 넘어서, 공급 속도, 고객 만족, 비용 효율, 유연성이라는 모든 SCM 지표에 직결되는 핵심 요소입니다.
하지만 여전히 많은 기업들은 물류를 ‘비용 중심의 지원 부서’로 인식하며, 전략적 혁신보다는 단기 효율만을 추구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제공된 물류 프로세스 이미지를 기반으로, 글로벌 SCM 환경 속에서 어떻게 물류가 전략적 무기가 될 수 있는지, 그리고 실질적인 물류혁신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깊이 있게 다뤄보겠습니다.
물류는 크게 세 단계로 나뉩니다:
단계 | 역할 | 주요 키워드 |
Planning (기획) | 생산지부터 수출 준비까지 | C/SKD, 피킹, CY보관, 출하 |
Tracking (이동/추적) | 국제 수송, 수입 통관 | 선적, 선기적, B/L, 운송 |
Monitoring/Improving (내수 및 사후관리) | 생산법인 → 판매법인 → 거래선 | 내수, 출하, POD, IOD, 반품 |
개선전 | 개선후 |
출하 기준 중심 계획 | 판매 예측 기반 수요지향형 물류계획 |
고정 운송 루트 사용 | 예측 기반 탄력 운송 루트 운영 |
C/SKD 생산지 중심 기획 | 글로벌 네트워크 최적화 기반 |
핵심 전략:
혁신 항목 | 내용 |
실시간 위치 추적 | 선박, 트럭, 항공 등 전체 이송단계 추적 |
선적 확보기반 운영 | 적기 선적 실패율 감소 |
선기적 모니터링 | 선박 스케줄 변경 시 자동 알림 |
핵심 성과:
영역 | 혁신 요소 |
W/H 운영 | 계약 단가, 적치 비용 실시간 모니터링 |
Inland 운송 | 차량 위치, 시간, 운임 자동 연동 |
재고 | 생산법인 및 판매법인 재고 통합 가시화 |
성과 예시:
영역 | 핵심 시스템 |
POD 확인 | Proof of Delivery 자동 확인 시스템 |
반품 프로세스 | 거래선 기준 Barcode/ASN 기반 반품 등록 |
IOD | Issue on Delivery 즉시 알림 기능 (불량, 오배송 등) |
혁신 효과:
물류혁신은 단순히 물류팀의 일이 아닙니다.
SCM, ERP, MES, WMS, TMS 등 전사 시스템과의 연동이 이루어져야 진정한 가시성과 자동화가 확보됩니다.
시스템 | 역할 |
ERP | 출고계획, 수주, 납품, 정산 연동 |
WMS | 창고 입/출고, 재고관리 연동 |
TMS | 차량 배차, 트래킹, 운임계산 연동 |
MES | 생산 출고 타이밍 연동 |
CRM | 반품/클레임 처리 연동 |
물류는 더 이상 ‘비용 발생의 중심’이 아닙니다.
이제는 **기업의 공급망 민첩성(Agility)**과 **고객 만족도(Customer Satisfaction)**를 결정짓는 가장 전략적인 도구입니다.
💡 "물류는 마지막이 아니라, 공급망의 시작점입니다."
오늘 여러분의 회사 물류는 과연 예측 가능하고 추적 가능하며 개선 가능한 상태입니까?
그렇지 않다면, 지금이 바로 물류혁신을 시작해야 할 때입니다.